본문 바로가기

마을 소식 나눔/마을학교

마을 공동육아 '둥굴레 놀이터' 선생님이 되었습니다. 올해 둥굴레 놀이터>가 만 2년이 되었어요. 올 봄, 우리에게 더 큰 변화가 있었어요. 아이들 만나는 시간을 한 시간 더 늘리고, 그간 날마다 돌아가며 선생님을 하던 틀에서 아이들을 전담하는 담임 선생님을 세웠습니다. 선생님은 어디서 모셔 오면 되는 거 아니냐고 물을 수 있지만 우리는 우리 마을 안에서 아이들의 담임 선생님이 세워지고, 또 마을에서 임금노동이 일어나길 바라며 오랜 시간 기도하며 기다려왔어요. 둥굴레 놀이터>가 세워지고 작년 한 해는 더 단단히 뿌리내리는 시간이었어요. 엄마, 아빠 선생님과 청년 선생님 등 다양한 관계로 만나가는 선생님들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었어요. 특히 그 중에서 아이들을 더 깊이 있게 만나가고 싶은 마음을 품은 청년을 아이들의 담임 선생님으로 세우기 위해 오랜 시간 함께.. 더보기
2023-24 민들레학교 겨울배움 갈무리 잔치 이전에 소개한대로 없이있는마을에서 초등과정의 친구들을 민들레로 부른다. (참고로 중등과정 친구는 진달래로 부른다.) 일반 초등학교의 방학 시기에 맞추어 민들레 학교를 연다. 과목은 고정되어있지 않고 때마다 다양한 배움거리를 가지고 온 마을이 함께 가르치고 배운다. 이번 겨울학기에는 심심풀이 예술, 가락과 장단, 영어, 산에 핀 진달래·민들레, 우리말로 써서 전하는 우리 역사 이야기 이렇게 다섯 가지 과목과 우리 일상을 담는 만화수업이라는 보따리 과목으로 학교를 꾸렸다. 8주간 함께 마을과 밖에서 신명을 다해 배웠다. 재밌는 것은 민들레 학교를 졸업한 진달래 친구도 네 가지의 배움자리를 함께 했다는 것이다. 배움한 것을 마을이 함께 보고 듣고 누리는 시간을 가졌다. 사실 누구보다도 민들레 친구들 셋이 가장.. 더보기
우리의 몸과 마음을 풀어낸 <심심풀이 예술> 수업 “응어리진 관계 풀어내기 연극수업 중, 나의 장면에서 내 마음 속의 한과 응어리짐이 풀어져서 놀라웠다.” -율(민들레학교 학생)- 01. ‘민들레 아이들과 예술로 더 깊게 만나보고 싶어요!’ 민들레 아이들과 예술로 더 깊게 만나보고 싶은 마을 이모, 삼촌의 마음으로 시작된 민들레 학교 8주차 수업. 일상에서 벗어나 예술을 매개로 나의 몸과 마음을 풀어내보자~! 이름하여 '심심풀이 예술'수업 입니다. 예술은 내가 경험한 것, 맛본 것, 생각한 것, 배워간 것, 느낀 것, 감각한 것을 손으로, 목소리로, 글로, 몸으로 조화롭게 풀어내는 활동이지요. 여러 예술 분야 중, 심·풀·예(*심심풀이 예술수업의 약자)는 미술/연극 두 가지 장르를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학기의 주제는 '몸과 마음'으로 동주선생님은.. 더보기
2023-24 겨울배움 민들레학교 - <산에 핀 진달래와 민들레> 산에 핀 진달래와 민들레, 지난 겨울 없이있는마을 민들레학교 체육시간의 제목이다. 햇수로 4년 째 민들레학교에서 체육을 담당하여 마을 민들레, 진달래 학생들의 팔과 다리를 힘차게 휘젓고 있다. 23년 여름 풋살을 시작하고 23년을 지나 24년을 맞이하는 추운 겨울 동안에는 나도 경험한 적 없는 동네 산을 올랐다. 민들레학교 체육시간은 아이들만을 위한 시간이 아님을 수차례 나누었었다. 학생들에게는 즐거운 체력단련의 시간이며 나에게는 설레는 도전의 시간이다. 민들레학교에는 이제 초등 6학년인 음, 율이라는 친구들이 있는데 약 2년 전부터 축구사랑에 깊이 빠져있다. 이들에게는 ‘축구를 잘 하기 위해서’라는 이유가 있다면 뭐든 의욕적으로 나선다. 초, 중등 과정의 아이들에게 등산을 심지어 차갑고 매서운 겨울바람.. 더보기
마을 공동 육아를 위한 '둥굴레 놀이터' 없이있는마을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이 이제 제법 많아졌습니다. 함께 공동체를 시작한 이후로 몇년 간은 여러 가정에 임신과 출산 그리고 육아의 과정이 반복되었어요. 함께 있기에 아이를 낳고 키우는 과정에서 서로의 짐을 나눌 수 있었지요. 하지만 점점 자라는 아이들을 보며 이 아이들을 어떻게 키우고 만나가야 할까? 고민도 많아졌습니다. 처음엔 의 형태로 함께 아이들과 엄마가 어우러져 시간을 보냈어요. 노래하고, 책 읽고, 산책하고, 밥도 같이 해서 먹고... 생활하는 모습을 보면 외부 어린이집과 크게 다를 바는 없었는데, 선생님 대신 엄마들이 그 역할을 맡고 있는 것이었죠. 그러다보니 엄마들의 부담이 작지만은 않았습니다. 여전히 '아이 키우는 것은 힘든 일'이라는 생각의 전제가 잘 바뀌지 않는 모습도 보게 되.. 더보기
2022-23 민들레학교 겨울배움 갈무리 잔치 몇 년 전 무더운 여름 전라북도 장수에 가서 전희식 선생님을 찾아뵈었다. 한몸살이가 시작된지 1년이 조금 넘었을 때였고, 당시 우리는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어떻게 열면 좋을지 고민하던 때이다. 우리가 아이들에게 '선생님'이 되어 줄 수 있을까? 교과목을 어떻게 하지? 학교 건물은? 여러가지 현실적 두려움 앞에서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을 때, 전희식 선생님과의 만남은 새로운 기운을 얻는 전환점이 되었다. 보따리처럼 어떠한 학생들도 품어 주고 서로의 말에 귀를 기울여 주는 배움, 지체들이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하라는 말씀을 듣고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학교건물과 교과목에 관한 관념들이 깨어졌다. 브루더호프 공동체에서는 생명과 죽음, 고통을 동시에 가르치고, 사랑과 함께 징계를 주며, 장애아와 입양아도 동등한.. 더보기
민들레학교 '국토소장정' - 뜨거운 여름 42KM를 걷다 https://www.youtube.com/watch?v=dQk6h-Fqrto&t=16s "앞서 가야하는 사람은 가야합니다. 그리고 그 길 함께 걷는 이들은 각자의 보폭에 맞춰서 걷습니다. 속도에 맞춰 함께 걷는가하면 또 살짝 뒤쳐져 걷기도 합니다. 앞에서는 사람은 뒷사람이 걱정되기도 하지만 그와 함께 걷는 이들이 함께 걸어줄 거라는 신뢰를 가지고 가야할 길을 갑니다. 그리고 쉬어갈 때 그들을 기다리며 함께 출발하기를 준비합니다. 그 사이 이 걸음을 돌보는 마음으로 함께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감사히 그 돌봄을 받습니다. 이렇게 다함께 목적지에 도착합니다. 그리고 다음 걸음을 준비합니다. 이 걸음은 민들레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확인합니다." 더보기
모든 생명이 솟아나는 봄, 민들레도 꽃이 핀다 “돌림병으로 힘들어하고 있다.” 2021년 봄이다. 벌써 돌림병은 1년을 넘어 그 기세가 심상치 않다. 마스크는 필수품이 되어버렸다 아니 피부와 같이 되어버렸다. 매일같이 모여 삶을 나누던 이웃들은 이제 모이는 곳에는 걱정어린 시선과 원망섞인 목소리가 가득해졌다. “봄! 땅 위의 모든 생명이 새로운 기운으로 가득하다.” “그것은 사람들 이야기지! 우리는 하나님이 주신 생명의 기운으로 이 봄을 물들인다구!” 그렇다. 봄에는 역시 푸른 산, 노란 꽃, 지저귀는 새소리와 힘차게 흐르는 물소리, 선선한 바람을 누리는 계절이다. 이 자연 앞에 기운없이 앉아만 있는 것은 지금을 살지 않는 자세다! 없이있는마을이 있는 송촌리에도 봄나물이 지천에 널려있고, 운길산은 초록색 옷으로 갈아입고 있다. 봄이 온 것을 감사히 .. 더보기